Techniques.

 

 

Techniques of My Works

 
 

5. 위상에 따라 확대 촬영해볼만한 달의 지형

 일반적으로 달을 관측하는데 보름일 때가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사진 관측의 경우에는 정반대일 수가 있다. 보름달의 경우는 빛이 너무 강해서 달 표면의 울퉁불퉁한 지형 즉 운석구덩이나 산맥 등이 입체감 없이 평면적으로 표현이 되므로 사진 관측 시 부적절하지만 운석충돌로 인해 생긴 반사율이 높은 흰색의 띠구조인 광조를 관측하기에는 좋은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달 표면의 어두운 부분은 달의 바다라고 부르는데 이는 화산 활동으로 흘러내린 어두운색의 암석인 현무암으로 채워졌기 때문이고 밝은 색 부분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으로 현무암의 용암이 고일 수 없는 지역에 해당한다. 현무암은 우리나라 제주도에 있는 어두운 암석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달 표면의 지형관측은 태양 빛이 비스듬히 비치는 때로서 초승이나 그믐달부터 상현이나 하현달 사이가 입체감이 크게 관측되고 상현이나 하현의 경우에도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경계에 위치하는 지형은 지형의 그림자가 길게 드리우므로 사진관측의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또한 저배율 접안렌즈로 관측 지형을 결정한 후 고배율 렌즈를 끼우고 사진 촬영을 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다음의 위상에 따라 효과적으로 사진 관측할 수 있는 지형들이다.


초승달

 

그림 5-1  초승달에서의 관측 지형


* 메시에 형제 - 두개의 작은 바다가 보이는데 북쪽이 위난의 바다이고 아래쪽이 풍요의 바다이다. 풍요의 바다 중심에서 2시 방향으로 2개의 운석구덩이가 보인다. 메시에 목록을 만든 혜성탐사가의 이름을 따서 안쪽에 있는 것을 메시에라고 하고 가장자리에 위치한 것을 메시에A라고 한다. 메시에A는 처음에는 피커링이라고 불렀으나 같은 이름의 또 다른 구덩이와 혼동이 되어 메시에A라고 부른다. 메시에에서는 관측 조건이 좋으면 흐릿한 두 가닥의 광조가 동쪽으로 뻗쳐있는 것이 관측이 된다. 메시에 형제는 운석이 비스듬히 충돌한 뒤 튀어 올라 다시 떨어지면서 두개의 구덩이가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광조의 방향이 이를 뒷받침한다.

* 아틀라스와 헤르쿨레스 - 위난의 바다 북동쪽에는 아틀라스와 헤르쿨레스라는 두 운석구덩이가 뚜렷하다. 약간 더 큰 헤르쿨레스 중심부에는 봉우리가 뚜렷하다.

* 랑그레누스 - 풍요의 바다 서쪽 가장자리에 있는 운석구덩이로서 최근에 만들어졌으며(그래도 30억년 이전의) 구조가 복잡하다.


  
                                                                                    그림 5-2  랑그레누스와 페타비우스 지역의 확대 촬영(2장 파노라마 합성)
 


 상현


그림 5-3  상현달에서의 관측 지형


어두운 부분인 추억의 바다, 맑음의 바다, 고요의 바다, 감로주의 바다가 북에서 남으로 순서대로 위치해 있다.

* 아리스토텔레스와 에우독수스 - 추억의 바다 남쪽의 크고 뚜렷한 운석구덩이로서 구덩이의 바깥쪽과 안쪽에 드리운 그림자를 보면 가장자리 지형이 얼마나 날카로운지를 알 수 있다. 아리스토델레스 아래쪽에는 에우독수스라는 구덩이가 있다.

* 베셀 - 맑음의 바다 위로 하얀 띠의 광조가 가로지르는데 이 띠 위에 보이는 크레이터가 베셀이다.

* 사빈과 리터 - 고요의 바다 남쪽으로 두개의 구덩이가 일부분이 겹쳐진 상태로 보이는데 북동쪽 크레이터가 사빈이고 남서쪽 방향으로 겹쳐진 것이 리터이다.

* 테오필루스와 키릴루스 - 감로주의 바다 북동쪽에 겹쳐진 형태로 보이는 구덩이로 북쪽이 테오필루스이고 남쪽방향의 것이 키릴루스이다. 테오필루스가 키릴루스를 위에서 겹친 모양으로 테오필루스가 더 나중에 생긴 것으로 지형도 더 신선하게 보인다.



상현과 보름사이


 

그림 5-4  상현~보름에서의 관측 지형


비의 바다, 증기의 바다, 안식의 바다, 구름의 바다가 북에서 남으로 순서대로 위치해있다.

* 플라토 - 비의 바다 북쪽에는 플라토라는 크고 안쪽 바닥이 평평한 운석구덩이가 있다. 고배율로 관측 시에는 더 뚜렷하게 관측된다. 이 구덩이가 평평하고 깨끗하게 보니는 것은 구덩이를 현무암 용암이 최근(그러나 30억년 이전..)에 채웠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 코페르니쿠스 - 상현과 보름달 사이의 달에서 가장 뚜렷하게 관측되는 멋진 크레이터이다. 시간에 따라 구덩이에 비쳐지는 햇빛의 변화에 따른 그림자의 변화는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는 매력적인 부분이다.

* 티코 - 달의 남쪽에 있는 구덩이로 남반구 전체를 덮는 희색의 광조 때문에 쉽게 관측할 수 있으며 육안으로도 보일정도로 규모가 크다.


보름달

그림 5-5 보름달에서의 관측 지형


폭풍의 바다와 아래쪽에 습기의 바다가 위치한다. 보름달의 경우는 너무 밝아서 망원경으로 관측하면 눈이 부셔 지형을 정확하게 관측하기가 어렵다. 빛을 감소시키는 필터를 사용하면 효과가 있다.

뚜렷한 운석구덩이이로는 코페르니쿠스, 케플러, 티코가 있고 티코에서 뻗어 나온 화려한 광조가 돋보인다.

* 케플러 - 케플러는 코페르니쿠스의 동쪽에 위치하며 구덩이의 깊이가 뚜렷하게 느껴진다.


보름과 하현사이

그림 5-6 보름과 하현 사이 달에서의 관측 지형


서쪽이 아니라 동쪽에서 빛을 받기 때문에 지형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관측시간이 새벽녘이기 때문에 밤샘 관측을 한 경우 몸과 눈이 피로해진 때이다. 따라서 하현달의 지형을 사진관측하려면 더 큰 체력과 정신력이 요구된다.

* 아리스타쿠스 - 폭풍의 바다 북쪽에 위치한다.

* 그리말디 - 동쪽 끝 가장자리에 위치한 그리말디 안쪽엔 검은 현무암용암으로 채워져 어둡게 보인다.

* 단층절벽(통곡의 벽) - 구름의 바다 서쪽으로 버트라는 구덩이 옆에 직선으로 보이는 절벽이 있는데 이는 단층에 의해서 만들어진 지형으로 여겨진다.


   
                                                             그림 5-7  케플러와 아리스타구스 지역의 확대 촬영
 
 

하현


그림 5-8  하현달에서의 관측 지형


* 아르키메데스, 플라토 - 비의 바다 왼쪽과 상단에 있는 아르키메데스와 플라토는 형태가 비슷하고 크레이터의 지름은 플라토가 약간 더 크다. 구덩이의 안쪽은 편평해 보이며 바다와 흡사한 색을 띠고 있다.

* 에라토스테네스 - 코페르니쿠스와 비스듬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존재하는 에라토스테네스는 명암이 뚜렷하게 관측되는 어둠과 밝음의 경계부에 위치한다. 중앙에 솟아있는 봉우리 구조도 뚜렷하게 관측된다. 또한 에라토스테네스의 북동쪽으로 늘어선 아펜니노산맥의 능선도 뚜렷하다.

* 아자첼 - 구름의 바다 왼쪽의 단층 절벽 위쪽에 있는 아자첼은 상현의 기울어진 태양빛에 의해서 형성된 음영의 차이가 가장 뚜렷한 크레이터 중의 하나이다. 상현이나 보름에서는 거의 관측되지 않지만 하현에서는 가장 관측하기 좋은 크레이터이며 음영의 차이로 보아 구덩이의 깊이도 상당히 깊게 나타난다.

* 클라비우스 - 하현의 아랫족에 보이는 클라비우스는 안경을 낀 사람의 얼굴과 같은 형상으로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크레이터이다, 클라비우스 크레이터의 둥근 능선을 따라 존재하는 3개의 구덩이를 찾아 관측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믐


그림 5-9 그믐달에서의 관측 지형


* 플라토 - 달의 북반구에 있는 크레이터로 가장 유명한 플라토를 그믐에 관측해보는 것은 색다른 경험이다. 상현부근에서 관측되는 방향과는 정반대로 들어오는 태양빛은 플라토의 또 다른 면을 보여준다. 그믐의 경우 새벽에 관측해야하기 때문에 평소에 쉽게 볼 수 없었던 구조들을 관측할 수 있다는 매력이 있다.

* 아리스타쿠스 - 다른 위상의 달에서는 아리스타쿠스의 구덩이를 거의 볼수가 없다. 그믐에서 관측되는 이 구덩이는 작은 바늘 구멍처럼 관측이 되며 주위에 부려진 광조의 모습도 관측할 수 있다.

* 케플러 - 그믐달에서 관측되는 케플러의 모습은 큰 음영차 때문에 구덩의의 입체감이 뚜렷하게 관측된다. 적절히 밝기를 조정하면 아리스타쿠스와 비슷한 크기의 구덩이과 광조를 볼 수 있다.

* 가센디 - 습기의 바다 위쪽에 있는 가센디는 그믐에서 볼 수 있는 바다에 접한 유일한 구덩이이다. 가센디 바로 위쪽에 있는 작지만 뚜렷한 구덩이의 모습으로 찾아보기가 쉽다. 가센디는 습기의 바다와 어울려 보석반지의 보석과도 같이 보인다.

  
                                                             그림 5-10  가센디와 습기의 바다 지역의 확대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