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iques.

 

 

Techniques of My Works

 
 

Step 2. 달 사진 촬영을 위하여


1. 달 표면 사진 촬영을 하기 전에(사진 관측을 위한 준비물)


 천체사진 관측을 위해서는 망원경과 카메라 외에 여러 가지의 촬영 보조기구와 사진 촬영에 대한 방대하고도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세부적인 사항은 이 책의 뒷부분에서 각각 천체를 촬영할 때 마다 정리해서 알아보기로 하고 1부에서는 기본적인 보조 장비만을 사용하여 촬영하는 법을 알아본다. 이 장비들만 있으면 누구나 달 사진 촬영에 도전할 수 있지만 만족한 사진을 얻기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과 촬영 경험이 필요하다.


사진관측을 위한 기본 장비

  달 사진 촬영은 경위대식 가대로도 촬영은 가능하지만 다른 천체의 사진도 찍으려면  적도의식 가대가 필요하게 되고 천체 망원경은 관측 천체의 특성에 따라 망원경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와 천체망원경을 연결하는 T링과 카메라 어댑터가 사진 관측에는 필요하게 된다.

천체망원경용 가대는 움직이는 방식에 따라 적도의식과 경위대식으로 구분된다.

  * 적도의식 가대 - 천체사진 촬영에 적당하며 어두운 천체 촬영을 위해 추적 장치와 극축망원경이 내장된 가대가 주로 사용된다.

  * 경위대식 가대 - 고정촬영에 주로 사용되며 달, 별자리, 일주운동 촬영이 가능하다.

 천체망원경은 세부적인 구분에 따라 특성이 각각 다르지만 크게 주경에 따라 구분하는 두 가지 방식의 경우 일반적으로 관측하는 대상은 아래와 같다.

  * 굴절식 망원경 - 상이 밝은 달, 행성, 이중성, 혜성의 관측과 선명한 상을 원할 경우 사용하면 적합하다.

  * 반사식 망원경 - 굴절망원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경이 크기 때문에 상이 어두운 성단, 성운, 은하의 관측과 긴 노출시간이 필요할 경우 굴절망원경에 비해 노출시간을 줄일 수 있다.

 카메라는 렌즈가 몸체와 분리되는 1안 리플렉스 카메라(SLR)가 천체사진 촬영용으로 사용되며 필름 카메라보다 디지털 카메라가 더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 필름식(아날로그식)- 릴리즈 사용이 가능한 B셔터 (벌브모드)가 있는 수동식 카메라가 천체사진용으로 많이 쓰인다.

 * 디지털식(DSLR) - B 셔터, 외부 전원 공급이 가능하고 릴리즈 또는 리모콘 사용 가능한 것 수동식 설정이 가능한 것이 좋다.

 * 렌즈 일체형 카메라 - 렌즈가 분리되지 않는 카메라로 어포컬방식 또는 피기백 방식으로 촬영가능하며 망원경과 연결 시 별도의 어댑터가 필요해서 구입하거나 제작해야한다. 조리개 및 노출시간을 수동으로 조정이 가능한 것이 좋다. 완전한 자동카메라의 경우는 천체사진에는 부적합하다. 망원경과 카메라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T링과 카메라 어댑터가 필요하다.


  

그림 1-1  천체촬영에 자주 사용되는 DSLR카메라


 * T링 - T링은 렌즈를 분리한 카메라에 부착하는 장치로 카메라에 따라 호환이 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제조사에 맞는 것을 골라야 한다. 한쪽은 카메라 렌즈의 결합부와 같은 형태이고 다른 쪽은 직초점 어댑터와 연결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만들어져있다.
 

  

그림 1-2 T링과 카메라


 * 직초점 어댑터 - 카메라에 부착된 T링과 망원경의 접안부를 연결하는 중간 장치로 한쪽은 T링의 나사 홈에 돌려서 연결하고 다른 쪽은 망원경의 접안렌즈 삽입부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어댑터 구입 시에는 망원경의 접안부의 배럴 사이즈에 맞는 것을 골라야하는데 일반적으로 접안부 배럴의 크기는 1.25 인치 또는 2인치가 대부분이고 사진 촬영에는 2인치 크기의 배럴이 많이 사용된다.


           
 
그림 1-3 직초점용 어댑터(좌)와 확대촬영용 어댑터(좌)


 * 확대 촬영 어댑터 - 어댑터 안쪽에 접안렌즈를 넣어 확대배율을 높여 촬영하는 데 사용하는 어댑터로 접안렌즈를 넣고 고정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있다는 것만 다를 뿐 망원경에 연결하는 방법은 직초점 어댑터와 같다. 확대 촬영 어댑터는 태양계 행성이나 달 표면 지형을 크게 촬영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한다.

                                                           그림 3-9 : 각종 광학계와 카메라의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