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iques.

 

 

Techniques of My Works

 
 

3. 별자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관측 대상 천체 찾기

 

     

그림 3-1  대표적인 별자리 프로그램인 starry night pro(좌)와 stellarium(우) 화면
 

 성도는 일반 지도와 비교할 때 남북은 같은 방향으로 일치하지만 동서 방향이 바뀌어 천체가 표시되는데 이는 성도를 하늘을 향해 들고 북극성 방향으로 성도의 북쪽을 일치 시켜보면 동서 방향이 바뀌어 보인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대표적인 컴퓨터 성도 프로그램은 그림 3-1의 스태리나잇과 스텔라리움이며 스텔라리움은 무료로 다운 받아서 사용할 수 있으며 스태리나잇은 기능과 화면구성이 뛰어나지만 유로로 구입해야한다. 스태리나잇의 경우 천체사진가들이 적도의와 연동시켜 천체사진을 촬영하는데에도 많이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어두운 밤하늘에서 컴퓨터 성도를 사용할 경우에는 모니터의 밝기로 인하여 눈의 암적응에 방해가 됨으로 사용에 주위를 기울여야할 필요가 있다.

 성도에는 지도의 경도와 위도에 해당하는 좌표축으로 적경과 적위 축을 기준으로 천체의 위치를 표현하는데 천구의 북반구는 적위값을 +로, 남반구는 -로 표시한다. 적경은 지도와는 다르게 360도를 시간단위인 24시간으로 나누어 표시하며 천구상의 춘분점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그 값이 증가하며 시(h), 분(m), 초(s) 단위로 표시한다, 춘분점은 천구의 적도와 태양의 경로인 황도가 만나는 두 점 중 적위 값이 +로 증가하는 곳에 해당하는 천구상의 가상적인 점으로 적경의 기준이 된다.

 적위는 지구의 위도와 같은 개념으로 천구의 적도를 기준으로 천구의 북극으로 +90도 까지, 천구의 남극 까지 -90로 구분하며 도(°), 분(˙), 초(¨)로 표시하며 천구의 북극의 적위는 +90이고 북극성의 적위는 천구의 북극에 근접한 89도 16분이다.

 성도에서 별의 좌표는 가로축을 적경(예, 12h2m)으로 세로축을 적위(예,+37°18˙)로 나타낸다. 다음 은 성도에 사용되는 기호들을 모아놓은 범례표이다.


성도상의 천체 표기법

 별자리를 구성하는 별들 중 가장 밝은 별부터 순서대로 그리스어 소문자를 붙여서 α(알파), β(베타),  γ(감마) ... 와 같이 이름을 붙이거나 별자리에서 적경 값이 증가하는 순서대로 숫자를 1, 2, 3.... 과 같이 붙이지도 하지만 그리스문자를 사용하는 방법이 더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겨울철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시리우스는 큰개자리의  α별에 해당한다.

 메시에 목록 - 1758년 프랑스의 혜성 탐사가인 샤를 메시에(Charles Messier)가 혜성 탐사도중 발견한 천체에 번호를 붙여서 기록하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M문자 옆에 숫자를 붙여서 표현한다. 메시에가 만든 목록은 대부분 많이 관측되고 유명한 천체로 구성되어 있다.

 NGC목록 - 1888년 존드라이어(John Dreyer)가 허셜 부자가 만들어 놓은 천체 관측 기록을 정리하여 새로운 천체 목록(New General Catalogue)를 완성했다.

 NGC목록은 메시에 목록보다 나중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메시에 목록보다 천체수가 많고 어두운 천체들도 많이 포한되어 있다.

 NGC목록도 메시에 목록과 마찬가지로 NGC 옆에 숫자를 붙여서 이름을 만드는데 적경이 작은 0h 부근의 천체부터 작은 숫자를 붙여 적경이 증가할수록 더 큰 숫자를 붙인다. 예를 들면 NGC1976(M42)인 오리온성운은 적경이 5h 35m 이고 NGC224(M31)안드로메다은하는 적경이 0h 23m 으로 오리온성운 보다 적경이 더 작다.


그림 3-2 성도

                                                           그림 3-9 : 각종 광학계와 카메라의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