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망원경 조작의 첫 걸음

①삼각대 ②적도의 마운트 ③적경조절나사 ④적위조절나사 ⑤균형추 ⑥균형축 ⑦방위각 눈금판 ⑧적경눈금환 ⑨적위눈금환 ⑩경통
⑪대물렌즈 ⑫접안부 ⑬접안부조절나사 ⑭천정미러 ⑮접안렌즈 (16)경통연결고리 (17)탐색경 (18)탐색경 조절나사
그림 2-1 천체망원경의 각 부 명칭
천체망원경의 다음과 같은 순서로 조립하여 설치하는데 바닥이 편평하고 단단한 곳을 선택해야한다. 지면이 무른 곳에 설치하면 관측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망원경의 무게에 의해서 수평이 기울어질 수가 있다.
천체망원경 설치 순서
① 삼각대를 설치한다. 다리 길이를 조정하여 수평을 정확하게 맞춘 후 고정시킨다.
② 적도의를 삼각대에 결합한 후 고정한다. 삼각대 위쪽에 N이라고 표시된 부분이 적도의 장치대의 앞쪽 부분에 위치하도록 결합하고 북쪽을 향하도록 조정한다.
③ 적도의 추봉에 추를 끼워 고정한다.
④ 적경축과 적위축 잠금 노브를 조여 두 축을 고정시킨 다음 경통을 연결한다. 축을 고정 시키지 않으면 축이 움직여 경통을 연결하는데 불편하다.
⑤ 탐색경과 사용할 접안렌즈를 끼운다.
⑥ 적위축의 잠금 노브를 풀고 경통 자체의 균형을 맞춘다.
⑦ 적경축의 잠금 노브를 풀고 경통과 추의 균형을 맞춘다.
⑧ 망원경을 움직여 관측대상 천체를 향하여 관측한다.

그림 2-2 천체망원경 조립에서 가장 중요한 경통의 앞쪽과 뒤쪽인 접안부쪽의 균형과 경통과 추와의 균형을 맞추는 모습
탐색경 정렬
망원경의 설치가 끝나면 망원경의 주경과 탐색경(파인더)의 광축을 일치시켜야 하는데 이를 탐색경 정렬이라고 한다. 탐색경은 주경에 비해 배율은 작지만 시야가 넓기 때문에 야간에 관측 대상의 천체를 찾는데 사용된다. 탐색경은 볼록렌즈 2개로 구성된 단순한 망원경으로 시야에 들어오는 상의 형태는 동서남북이 모두 거꾸로 된 도립상으로 나타난다.
탐색경과 주경의 광축이 일치하면 관측대상의 천체를 탐색경의 십자선 중앙에 일치시키면 주경의 중심에도 대상 천체가 위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탐색경과 주경의 광축을 일치시키는 탐색경 정렬이 필요하다. 탐색경 정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주경을 움직여 먼 곳에 있는 기준이 될 만한 물체나 지형을 찾아 망원경 시야의 중심에 넣고 초점을 맞춘다.
② 망원경 가재의 적경축과 적위축 또는 방위각, 고도 조절나사 조여 주경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③ 구경 시야 중심에 있는 정렬의 기준이 되는 물체나 지형을 탐색경의 조절나사를 이용하여 탐색경 시야의 십자선 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정한다.
④ 기준점을 십자선 중심에 일치 시켰으면 다시 주경을 확인하여 탐색경 정렬 중에 기준점이 주경의 중심에서 벗어났는지를 확인하고 어긋났으면 미세조정을 통하여 탐색경과 주경의 광축을 재조정한다.

그림 2-3 탐색경 정렬은 주경의 시야와 탐색경의 시야를 일치시기는 과정과 주경과 탐색경의 시야 모습
망원경의 상
천체망원경은 여러 가지 이유로 보이는 상의 모습이 다르게 보일 수 있다. 일반적인 상의 모습은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육안으로 보이는 상(정립상 또는 직립상) - 쌍안경, 생태관측용 망원경 또는 직립프리즘 사용 시
상하좌우가 바뀌어 보이는 상(도립상) - 탐색경(파인더스코프), 뉴튼식 망원경에 직각프리즘(천청 미러)이 장착된 경우
좌우만 바뀌어 보이는 상 - 도립상 망원경에 직각프리즘이 장착된 망원경 , 뉴튼식 망원경.
그림 2-4 : 망원경 상의 모습
천정 미러(직각프리즘)은 관측 위치를 편하게 하기위한 장치로 내부에 거울이 들어 있어 이 거울에 상이 한번 반사되기 때문에 상이 반대로 바뀌게 된다.
망원경을 가지고 낮에 사물을 관측하여 상이 어떤 모습으로 보이는지를 미리 파악해 두고 천정 프리즘을 장착했을 경우 좌우가 바뀌는 현상도 꼭 기억해 두어야만 야간에 천체를 관측했을 경우 당황하지 않는다. 밤하늘은 망원경으로 관측할 경우 시야도 좁고 특정한 별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방향을 헷갈리기 쉽다.
그림
3-9 : 각종 광학계와 카메라의 연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