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제목을 클릭하면 기사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Me in News

 
     

사이언스타임즈(2012) 인터뷰기사

 지구과학교사로서 천체사진을 시작하게  된 동기와 천체사진의매력, 그리고 과학교사로서 과학대중화를 위한 방안 등에 대해서 인터뷰하였다. 학교에서 학생들과의 학습활동 외의 다양한 활동을기사화하였으며, 2011년 도입된 STEAM교육에 참여하게 된 동기와 과학교사로서 대중에게 천체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고자 하였다.

 

 

  이코노미 조선(2013) 특집기사

  2013년 서호주 천체사진촬영 및 지질탐사 프로젝트를 다녀온 후 '중년 남성들의 로망'에 해당하는 것 중 첫 번째로 조사된 '서호주에서 천체관측하기'에 대해서 자료와 사진을 월간지에 싣게 되었다. 천체관측 활동을 하는 다양한 직군의 사람들과 함께 천체관측에 필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기사 취재에 협조하게 되었다.

 

Gentleman(2013) 서호주 천체관측 준비에 관한 기사

 
 최근 천체관측 활동을 하고자하는 사람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빛의 공해가 적고 하늘이 맑은 곳으로 원정 관측을 떠나고자하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다. 서호주로 남반구 천체촬영에 다녀온 경험을 바탕으로 천체사진 촬영장비와 장소 그리고 일정을 안내하여 서호주 원정관측을 하고자하는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과학동아 기획(2015) 아마추어들의 외계행성 탐사법

 
최근 과학계에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외계행성탐사법을 아마추어 수준에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풍문여고 천체관측반 학생들과 수행하고 공개하였다. 3, 6, 9 3차례에 걸쳐서 진행순서에 따라 내용을 싣고 일반인들에게 외계행성 탐사에 대한 접근을 가볍게하고자 하였다.  [3월호,  6월호, 9월호]

 

서울신문(2010) 다문화가정핵생들의 천체관측활동지원

  다양한 국적의 엄마와 아빠를 부모로 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서울과학전시관에서 천체관측활동을 지원해오고 있다. 이 소식을 접한 신문사에서 취재를 수행하였고, 자칫 소외되기 쉬운 학생들에게 우주와 과학에 대한 꿈을 키울 수 있는 기뢰를 제공하고자 하는 활동을 소개하였고 이 학생들이 훌륭한 미래의 일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랬다.

 

조선일보(2006) 수성축제를 즐기자 칼럼기사

  수성이 태양 앞을 통과하는 의미있는 순간을 일반인들에게 알리고자 칼럼을 기재하였다. 금성이 2004년에 태양앞을 지나간 되라서 관심을 가질 수 있으나 수성의 크기가 작아서 관측하기는 쉽지 않았다. 풍문여고 천체관측반 학생들과 운동장에 망원경을 설치하고 관측활동도 진행하였다. 증명사진은 신문사에서 사진을 요구해서 보냈는데 어색하다.

 

월간사진(2011) 천체사진동호회 NADA

  사진 전문 월간지인 월간사진에서 천체사진을 촬영하는 사람들을 소개하고 천체사진을 게시하기 위해서 기획한 코너에 본인이 참여하고  있는 천체사진동호회 NADA가 선정되었다. 천체사진을 촬영하는 방법과 촬영장비, 그리고 가장 감명 깊었던 순간들에 대한 기사를 제공했으며 사진의 한 축에 천체사진이 존재함을 일반인들에게 알리는 기회가 외었다. 제공한 사진 중 말머리 성운과 불꽃성운이 있는 사진을 게시하였다. 기사 링크에 있는 여성 사진에 놀라지 마시길..

 

조선일보(2014) 융합교육을 잘 활용한 공교육사례

 
2014년 신년교육기획의 연재로서 "융합교육이 경쟁력이다" 라는 주제에 본인이 연구책임자로 활동중인 STEAM교사연구회와 STEAM학생연구회 활동이 우수사례로 선정되어 기사화되었다. 2012년 우리나라의 STEAM 교육의 도입과 함께 시작된 활동이 인정을 받는 기분이라 느낌이 좋은 순간이었다. 학생들과 활동한 사진을 게시하였고 공교육에 융합교육을 접목시키는 방안 그리고 앞으로 융합교육의 전망에 대해서 기사를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