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estron SCT 8인치 광축조정 방법과 토성 촬영이미지  .

 

 

Celestron SCT 8 inch 광축 조정과 토성이미지의 변화

 
   

 

 

 

 

 

 

  Celestron SCT 8 인치 광축정렬을 위한 준비

  
광축 조정용나사를 돌리기 위한 드라이버, 2.5배 바로우렌즈, 별빛을 대신할 작은 쇠구슬, 광축조정용 소프트웨어(Collimation03).
콜리메이션 프로그램은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위 그림과 같이 동영상 촬영 프로그램위에 투영되어 나타나도록 되어 있어 빛에 의한 회절상의 상태를 쉽게 맞춰 볼 수 있으며 이를 보고 광축 조정을 하여 회절상이 동심원이 되도록 조정한다.

    

 

 쇠구슬의 반사광으로 SCT 광축 조정하기

1. 쇠구슬을 관측하기 쉬운장소에 고정 시키되 가능한
     한 거리를 50m이상이 되도록하는 것이 좋다.

2. SCT 경통을 경위대나 적도의에 올리고 태양 빛을
    반사시키고 있는 쇠구슬을 찾아 시야에 넣는다.

3. 시야 중심에 넣고 2.5배 바로우나 파워메이트를 연결
    하여 상을 확대하고 접안부를 조정하여 초점을 In,
     Out하면서 회절상의 상태를 살핀다.


SCT 광축 조정과 토성 촬영이미지 변화

 1. 첫 번째 토성의 이미지는 광축을 조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한
      것 이다. 물론 촬영 환경도 서울의 세검정 아파트 옥상에서 촬영
      하여  광해와 대기의 안정도가 좋지 않은 상황이었다.

      그러나 촬영당시의 하늘 환경보다 불량한 광축의 영향도 크게 작       용한 듯하다. 초점을 맞추려고 1시간 이상을 노력했으나 성공하
      지 못했는데  광축이 맞지 않아서도 그 원인일 수도 있을 것이다. 


2.  두 번째의 토성은 쇠구슬을 이용하여 광축을 조정한 다음의 이미
     지이다. 촬영환경은 서울의 북쪽에 위치한 파주시 광탄면이었다.
      도심에서 보다는 안정도가 좋은 편이었지만 습도가 많았기 때문
      에 최적의 환경은 아니었다. 카시니 간극이 보이고 처음 사진
     보다는 많이 좋아졌음을 알 수 있지만 만족스럽지 못한 상태이다.


3.  세 번째는 아파트 앞 소방서 옥상에 있는 국기봉을 가지고 광축을      재조정한 후 의 사진이다. 두 번째 광축조정은 컴퓨터의 모니터만
     으로 조정을 했는데 이번에는 접안렌즈를 사용하여 광축 조정하
    였다.
 모니터로 보았을 때는 동심원이 정확한 것 처럼보였으나
    고배율의 접안렌즈를 사용하니 오차가 발견되어 재조정을 다시
     하였다.
     촬영환경은 양평군 단월면에서 하였으며 습도가 높았지만 대기안      정도는 7정도의 나쁘지 않은 날이었다.


4. 마지막의 토성이미지는 3번에서 조정한 상태에서 인제 운이덕에     가서 촬영한 것이다. 하늘의 투명도는 좋았으나 안정도는 위의 3차     례보다 좋지 않은 상태였다.
    그러나 1시간 분량의 촬영 이미지를 합성한 결과 가장 좋은 토성의      이미지를 얻을 수가 있었다.
     행성촬영은 대기안정도, 촬영시간, 광축의 상태가 결정한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4.  위쪽 사진에서 회절상이 반쪽만 보이는 이유는 쇠
   구슬의 위치선정이 잘못되어서 한쪽의 회절상이 보이
   지 않는 경우인데, 쇠구슬의 배경 한쪽이 어둡거나
   너무 밝을 경우 이런 현상이 생긴다.  즉 쇠구슬은 어두
  운 배경에 떠 있는 것과 같이 설치하는 것이 좋다.

5. 왼쪽은 접안렌즈를 제거하고 행성촬영용 동영상카
    메라를 연결하고 촬영용 프로그램에 나타낸 것이고
    콜리메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동심원의 상태를
    파악하는 장면이다.

6. 회절상의 밝기가 균질하지 않고 동심원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광축이 좋지 않은 상태이다.
7. 왼쪽의 사진도 광축이 정학하게 맞지 않아서 동심원의
    간격이 왼쪽보다 오른쪽이 촘촘하게 보이고 빛의 세기
    도 균질하지 않고 차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8. 동영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어느정도 광축이 조정되면
    고배율 접안렌즈를 연결하고 눈으로 정렬을 마무리
    한다. 컴퓨터화면으로 보는 것 보다 렌즈를 통해서
    보는 것이 좀더 정확하기 때문이다.